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불완전함을 극복하기 위한 올바른 수단

by Uzoob 2024. 2. 22.
반응형

불완전함을 극복하기 위한 올바른 수단

아이가 자기의 어려움으로부터 해방되겠다는 바람만 갖고 있다면 개선이 늦어지게 된다. 그들이 노력을 위한 목적을 계속 가지고 있을 때, 그리고 이 목적을 달성하는 일이 그들 앞에 버티고 서 있는 장애물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할 때 그들은 계속해서 용기를 가질 수 있다. 만약 그들이 그들의 목표를 향하고자 한다면 당연히 그들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스스로 훈련하고 준비할 것이다.
우리가 사물이나 상황에 대해 취하는 태도는 항상 의미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우리는 심리학에 관한 우리의 정의를 이렇게 표현할 수가 있다. 심리학이란 한 개인이 자기의 몸에 대해 취하는 태도에 관한 이해이다.
우리는 또 인간의 마음속에 어째서 커다란 잘못이 생기는지를 이해하기 시작한다. 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환경의 요구를 잘 받아들일 수 없는 몸은 대개 마음에 의해 무거운 짐이라고 여겨진다.
그렇기 때문에 육체적으로 불완전한 신체 기관을 가졌다는 이유로 괴로움을 겪은 아이들은 정신적 발달에 있어서 다른 아이들보다도 훨씬 커다란 곤궁에 빠진다. 그들은 자기 몸으로 우월한 지위를 향해 움직이거나 스스로를 통제하기가 보통의 경우보다 어렵다. 똑같은 목표를 달성하려고 할 때도 다른 사람보다 많은 정신적 노력이 필요하며 정신의 집중도도 높여야만 한다.
이에 따라 마음의 부담이 과중해지기 때문에 자기중심적이고 이기적이 되어 간다. 만일 아이가 항상 자기의 몸이 불편하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하고 움직이는 데 곤란을 느끼며 마음을 쓰고 있다면, 자기 이외의 것에 주의를 쏟을 여유가 없다. 그 아이는 타인에게 관심을 가질 시간도 자유도 없으며 그 결과 사회 감정이나 협동하는 능력도 다른 사람보다 낮은 상태로 성장하게 된다.
모든 기관이 불완전하다는 것은 확실히 불리한 조건이다. 그렇다고 해서 결코 피할 수 없는 운명도 아니다. 만약 정신이 자신의 본분을 잘 수행하고 모든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열심히 훈련한다면, 그런 사람들 또한 무거운 짐을 지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훌륭하게 성공할 수 있다.
실제로 불완전한 신체 기관을 갖고 있는 아이가 장애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사람들보다 더 커다란 업적을 이룩하기도 한다. 그런 경우의 핸디캡은 전진하기 위한 자극인 셈이다.
가령 어떤 소년은 눈이 비정상이기 때문에 극심한 고통으로 괴로워할지도 모른다. 그는 눈으로 볼 수 있는 세계에 대해 다른 사람들보다 더 주의를 기울인다. 그는 여러 가지 색이나 형태로 판별하는 일에 누구보다도 흥미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그는 사소한 차이에 주의를 기울여 고투할 필요가 전혀 없는 다른 아이들보다 가시적 세계에 대해 위대한 경험을 갖게 된다. 이렇게 해서 불완전한 기관은 귀중한 이점의 원천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럴 수 있는 경우는 마음이 모든 역경을 극복하기 위한 올바른 수단을 발견했을 때에만 가능하다. 불완전한 시력으로 고민했다는 화가나 시인의 경우를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불완전함은 잘 훈련된 정신에 의해 통제된다. 결국 이런 정신의 소유자는 그들의 눈을 정상에 가까운 다른 사람들보다 더욱 많은 목적을 위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부류의 보상은 왼손잡이 아이들 가운데서 더 잘 보인다. 가정생활에 있어서 혹은 학교생활을 처음 시작할 때 그들은 불완전한 오른손을 사용하도록 훈련된다. 그 과정에서 처음에는 오른손으로 글자를 쓴다거나 그림을 그린다거나 수예를 하는 등의 세밀한 작업을 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만일 정신이 그런 어려움을 극복만 한다면 불완전한 오른손도 가끔은 고도의 예술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실제로 그런 일이 일어난다. 많은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왼손잡이 아이는 다른 아이보다 글씨나 그림 실력이 뛰어나며 수예 솜씨도 훌륭하다. 그들은 올바른 기술을 배움으로써 흥미나 훈련이나 연습에 의해 불리한 점을 이점으로 변화시켜 갔기 때문이다.
전체를 위해서 공헌하고 싶어 한다거나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관심을 갖고 있는 아이들은 자신의 결함을 고치려는 훈련에 성공할 수 있다. 그들이 노력을 위한 목적을 계속 가지고 있을 때, 그리고 이 목적을 달성하는 일이 그들 앞에 버티고 서 있는 장애물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할 때 그들은 계속해서 용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아이가 자기의 어려움으로부터 해방되겠다는 바람만 갖고 있다면 개선이 늦어지게 된다. 문제는 그들의 관심과 주의가 어디로 향해 있는가 하는 점이다. 만약 그들이 그들의 목표를 향하고자 한다면 당연히 그들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스스로 훈련하고 준비할 것이다.
어려움이란 성공에 이르는 도중에 극복되어야만 하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그들의 관심이 자기들의 장애를 강조하는 일에만 향해 있다거나 어려움에서 해방되겠다는 목적으로만 장애와 싸우고 있다면 그들에게 진보란 없다.
불필요한 오른손이라는 개념은 단지 생각에 불과하다. 오른손이 그저 쓸모없지 않기만을 바란다거나 불필요하지 않을 정도만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면 능숙한 오른손잡이가 될 수 없다. 재주 있는 손을 갖기 위해서는 실제로 자주 사용하고 연습해야 한다. 능숙한 손으로 만들고 싶다는 마음이, 지금까지 서투름으로 인해 느꼈던 불편함보다 더욱 강하게 느껴져야만 한다.
만약 아이가 열심히 노력해서 장애를 극복하려 한다면 불편함을 없애겠다는 것 이외에 다른 목표가 있어야만 한다. 즉, 현실에 대한 관심,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 협동에 대한 관심에 기초를 둔 목표여야 한다.
유전적인 요인과 그 영향에 관한 좋은 예를 한 가족을 통해 볼 수 있다. 수뇨관 이상으로 인해 고민하는 가족이 있는데 그 아이들은 야뇨증으로 매우 고민하고 있었다. 그런 경우 기관은 정말 이상이 생긴 것이다. 그런 이상은 대개 신장이나 방광이나 척추의 분열이라는 증상에 의해서 나타난다. 그 부분의 피부에 태어나면서부터 반점이 있는 것을 보면서 요추 부분의 불완전함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야뇨증은 반드시 열등한 기관에 의해서만 설명되는 것은 아니다. 아이는 그 기관에 지배를 받고 있는 게 아니라 그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모든 기관을 이용하고 있다.

가령 어떤 아이들은 밤에는 오줌을 누지만 낮에는 결코 그런 일이 없다. 이 습관은 종종 환경이나 부모의 태도가 변했을 때 사라진다. 지적장애아인 경우는 별도로 하고, 야뇨증은 아이가 자신의 불완전한 기관을 뭔가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걸 그만둔다면 극복될 수 있다.
하지만 야뇨증으로 시달리고 있는 아이들은 주로 그 문제가 극복되도록 자극받지 않고 단지 그 일을 계속해 가도록 자극받는다. 현명한 어머니만이 올바른 훈련을 시킬 수 있다. 만일 어머니가 미숙하다면 불필요한 약점이 계속 남게 된다. 신장이나 방광 장애로 고생하는 가족을 보면 배뇨에 관한 일이 지나치게 강조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런 경우의 어머니는 야뇨증을 고쳐 주기 위해 잘못된 훈련을 시키고 있는 셈이다.
아이가 이런 행동들에 얼마만큼의 가치가 주어지고 있는지를 깨닫는다면 그는 즉각 반항할 것이다. 또 아이가 어머니의 행동에 반항한다면 그는 언제든 어머니의 최대 약점을 찔러 공격하는 방법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