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2

심리학(심리학과 법의 관계, 사법절차와 심리학, 재판단계에서의 심리학의 활용, 형 집행단계에서의 심리학의 활용) 심리학과 법의 관계 인간행동의 통제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심리학과 법은 밀접한 연관성이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과 형식에서 심리학과 법은 매우 다른 속성을 가지고 있다. 법은 개인이 자신의 행위와 그에 뒤따르는 거의 모든 결과에 대하여 전적으로 책임을 진다는 가정에 기초한 규범체계로 이루어져 있다(Morse, 1978). 반면에 심리학은 인간행동이 그에 선행하는 경험과 상황에 의해 좌우된다는 가정에서 시작함으로써 인간행동에 대한 상당히 결정론적인 시각을 지니고 있다. 결정론적인 입장에서 보면 인간행동의 많은 부분은 자유의지에 의해서가 아니라 일관된 법칙과 원리에 의해서 일어난다(박광배, 2002). 심리학과 법은 모두 애매모호하고 매우 복잡한 현상을 다루므로 그러한 현상에 대한 판단과 결론은 불확실하다... 2024. 2. 13.
심리학(생물학적 범죄원인론, 심리학적 범죄원인론, 지능이론, 성격이론, 학습이론) 생물학적 범죄원인론 범죄행동에 대한 생물학적 설명은 19세기 실증주의가 시작하기 훨씬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범죄행동과 체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15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얼굴 특징과 범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1700년경에 이루어졌다(Reid, 1985). 초기의 결정론적 실증주의자들은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타고난 조건이 그 사람의 행동유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믿었다. 인간의 외양이 그 사람의 특성을 드러낸다고 믿었기 때문에, 초기 실증주의자들은 범죄의 원인을 범죄자의 체형에서 찾고자 했다. 이들은 고전학파가 일부 사람은 범행을 선택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관습적인 가치와 신념을 견지하는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다고 비판하면서 일부 범행을 선택하는 사람은 바로 생물학적 결함이 있는 사람.. 2024. 2. 12.
심리학(범죄의 원인론, 사회학적 범죄원인론, 사회구조와 범죄, 사회화 과정과 범죄) 범죄원인론 범죄원인론은 사람들이 범죄를 저지르는 원인에 관한 이론이다. 범죄원인론은 고전학파와 실증학파로 분류할 수 있다. 고전학파는 범죄행동에 대한 자유의지론을 주장하는 반면에, 실증학파는 범죄행동을 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특정한 원인에 의한 것으로 보는 결정론적 입장을 가지고 있다. 고전학파와 실증학파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는 앞서 살펴보았고 여기서는 실증학파의 하위 이론들을 알아보겠다. 실증주의 이론들 중에서 사회학적 이론들은 기본적으로 범죄행위의 결정요인이 행위자의 외부에 존재한다고 보는 관점이고, 생물학적 이론들은 행위자의 내부에 존재한다고 보며, 심리학적 이론들은 외부적 결정요인과 내부적 결정요인의 상호작용에 비중을 두는 관점을 취하고 있다. 사회학적 범죄원인론 1920년대 미국 시카고학파의 .. 2024. 2. 11.
심리학(범죄심리학의 이해, 범죄심리학의 정의, 범죄심리학의 역사, 범죄심리학의 주제와 영역(연구주제, 연구영역) 범죄심리학의 이해 이 절에서는 범죄심리학을 이해하기 위해 범죄심리학의 정의와 발달과정을 살펴보겠다. 특히, 역사적 배경 속에 들어있는 철학적 사상은 초기 범죄심리학의 출현부터 현대의 범죄심리학에 이르기까지의 발전과정을 보여준다. 범죄심리학의 정의 범죄심리학(Criminal Psychology)은 범죄 특히, 범죄인의 심리적 측면을 다루는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Howitt, 2002). 즉, 범죄행동의 심리학적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심리학이 인간의 행동과 정신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범죄심리학은 범죄행동의 심리학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국내의 형사정책 서적들과 외국의 범죄학 서적들은 범죄심리학 관련 범죄원인론만 일부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범죄심리학은 범죄원인론 외에도 범죄수사.. 2024. 2. 10.
반응형